031.488.8700

배곧한신 공인중개사사무소

이명숙

031-488-8700/010-6265-5772

정왕동 아파트

좌측SMS

  • 0 / 80자
  • --

좌측 QR

좌측 바로가기

내용시작

> 부동산뉴스 > 전체뉴스

전체뉴스

“서울 사무실 찾기 힘드네”…‘나홀로 호황’ 오피스 임대시장

중앙일보입력 2023.03.02

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감소하며 나 홀로 호황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.

28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2022년 서울 오피스 빌딩 평균 공실률은 2.78%로 집계됐다. 공실률이 가장 높았던 지난해 1월 3.62%를 기록한 이후 3%대를 유지하다 5월부터 2%대로 떨어진 후 12월엔 2.07%를 나타내며 최저 공실률을 기록했다.

서울시 내 주요 권역 가운데 가장 낮은 공실률을 보인 곳은 GBD(강남구·서초구)로 월평균 0.5%의 공실률을 기록했다. 1년간 소폭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전반적으로 1% 미만을 유지했다.

YBD(영등포구·마포구)는 지난해 월평균 공실률이 1.18%로 1월 1.6%에서 12월엔 1.02%의 공실률을 기록하며 1%대 공실률을 유지했다. 반면 CBD(중구·종로구)는 지난해 평균 5.31%로 가장 높은 공실률을 보였다. 1월 6.88%를 보이던 공실률은 12월 3.68%까지 떨어지면서 주요 권역 중 연초 대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.
 

▲ 서울 마포구 공공 임대 기관 에스플렉스를 비롯한 상암동 오피스텔이 위치한 모습. 뉴스1



수요가 늘면서 서울시 오피스 빌딩 평균 임대료는 오름세를 보였다. 가장 크게 임대료가 오른 권역은 GBD로 2.5% 상승했으며, YBD(2.3%), CBD(0.6%) 순으로 나타났다.

GBD의 경우 프리미엄 빌딩, 대형빌딩, 중대형빌딩, 중형빌딩, 소형빌딩 등 규모와 무관하게 12월 기준 직전년도 대비 임대료가 모두 올랐다. 이에 반해 YBD와 CBD 권역의 경우 규모에 따라 일부 임대료가 감소했다. YBD 권역에선 대형빌딩(-0.1%)과 중대형빌딩(-1.4%)이, CBD 권역에선 소형빌딩(-0.9%) 임대료가 하락세를 보였다.

지난해 서울시 오피스 빌딩의 전용면적당 비용(NOC)은 1월 19만 791원에서 12월엔 19만 7044원으로 오르면서 3.3% 증가했다.

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&ld..[원문보기]

 

내용끝

오늘본매물